VILLIV



SPACE|공동주택, 다양성, 재생, 홈데코

미국 건축가들이 선정한 올해 최고의 집

2022 하우징 어워드

Text | Young Eun Heo
Photos |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매해 미국 건축가협회는 훌륭한 주택을 선정해 하우징 어워드를 발표한다. 2022년에 선정된 14채의 주택은 좋은 집이란 건축적 아름다움과 내구성, 안전성, 지속 가능성, 편안함이 결합된 결과임을 보여준다. 또한 건축이 주변 환경과 어떤 관계를 이루어야 하는지, 환경을 위해서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도 보여준다.





 Nic Lehoux




집은 건축과의 첫 만남의 장소이자 가장 개인적인 공간이다. 미국 건축가협회가 지난 22년간 매년 혁신적이고 안정적인 주택을 선정하는 하우징 어워드Housing Award를 개최하는 이유다. 하우징 어워드는 1인 혹은 2인 이상 가족을 위한 주택, 특수 주택, 저소득층을 위한 공급 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주택을 대상으로 내구성, 혁신성, 영향력, 주변 환경과의 조화, 건축주의 요구 등 여러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수상작을 선정한다. 2022년에는 총 14 선정는데, 이를 통해 현재 미국 건축가들이 주택을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올해는 친환경 재료와 에너지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건축적 맥락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공통점 있다.





 david Lauer photography




1인 혹은 2인 이상 가족을 위한 주택은 자연으로 들어간 사례가 많았다. 미국 콜로라도 고트반 레인Goatbarn Lane’은 주변 산 풍경과 건축의 조화를 우선으로 삼은 집이다. 건축가의 아버지를 위해 지은 이 집은 바위를 지지대로 활용 침실 공중에 떠 있도록 했다. 직선적이고 모던한 디자인 고즈넉한 풍경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산불 방지를 위해 지붕과 바닥에 발화 방지 시설 설치했다. 이처럼 자연 속에 위치한 주택은 도시와 달리 급변하는 기후에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중요하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리오 하우스Rio House’는 습한 기후에서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유지·관리 우선으로 고려. 지반보다 살짝 높이 올라간 건물은 시야가 탁 트이는 동시에 통풍이 잘최악의 습도를 피할 수 있다.





 Maíra Acayaba




외에 지역 재료를 활용한 주택도 대다수를 차지했다. 코스타리카 트리하우스Costa Rica Treehouse’는 서핑 마니아이자 환경운동가 건축주와 그 가족이 살도록 지은 3층 집으로, 현지에서 수확한 티크 나무로만 지었다. 이는 집이 주변 정글과 어우러지는 효과는 물론, 나무 프레임 사이로 빛이 들어와 매 시간 빛과 그림자만으로 집 내부가 변하며 극적인 풍경을 만들어낸다. 또한 건축가는 친환경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설계했다. 지붕의 태양열 패널은 집에서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공급하며, 지하의 빗물 집수 시스템은 장마철 빗물을 모아 생활에 필요한 급수를 제공한다.




(집이란) 건축과의 첫 번째 만남이자 가장 개인적인 만남이기도 합니다.




빗물을 모으는 집수 시스템은 친환경 주택의 필수 아이템. 하우징 어워드에 선정된 또 다른 주택 ‘레인 하비스트 홈Rain Harvest Home’은 물 절약 시스템 집 전체에 적용. 멕시코시티의 조경 개발 지역에 있는 이 주택은 에너지와 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주변 환경 보호 앞장선다. 개방 지붕으로 빗물을 모아 사용하는 수영장은 노천탕은 물론, 주변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 역할까지 한다.





 eric Staudenmaier




2022 하우징 어워드에 선정된 개인 주택들이 친환경적이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집중했다면, 공용 주택은 이웃과의 커뮤니티에 초점을 . 정신 질환자를 위한 공동주택 ‘플로 401 로프츠Flor 401 Lofts’와 노숙자의 임시 주택 ‘디 아야The Aya’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임에도 주민들의 기피 대상이었다. 따라서 두 주택을 담당한 각 건축 설계 팀은 시작부터 주민들 이해를 구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 많은 공을 들였다.



플로 401 로프츠디 아야에 적용한 방식은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지만, 원할 때는 얼마든지 이웃을 만날 수 있는 구조 구축하는 것이었다. 플로 401 로프츠는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다리를 두어 지역 주민들이 거주자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두 주택 모두 거주자의 사회성 증대와 재활을 위해 정원, 보육실 등 공용 공간을 마련해 거주 내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하, 공간 곳곳을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으로 꾸며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했다.





 Robert Hutchison




이 밖에도 하우징 어워드에 선정된 개인, 공동 주택들은 심플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삶의 간소함을 보여주며, 현지 전통 가옥 구조에서 영감을 받거나 현지 목수와 협업하는 등 지역적 특징 적극적으로 품으려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각 주택의 특징은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생각과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결과다. 하우징 어워드에 선정된 주택들은 단순히 건축적 성과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현재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원하고,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셈이다.




RELATED POSTS

PREVIOUS

집을 떠나 집을 생각하다
호텔 그라피 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