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LIV

VOL. 152

에어비앤비가 예측한 2022년 인테리어 트렌드

WEEKLY NEWSLETTER | 2022.02.03

일반적으로 인테리어는 단순히 아름답게 집을 꾸미는 것이라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인테리어는 사람을 둘러싼 환경의 모든 요소를
고려한 기능적이고 편리한 공간을 연출하는 행위입니다.
때문에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집에서
보다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삶의 질을 높이는 인테리어`는
무척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인테리어는 무엇인가요?
이번 주 빌리브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서
2022년 인테리어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고
나에게 맞는 인테리어는 무엇일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에어비앤비가 예측한 인테리어 트렌드 8

에어비앤비 2022년 인테리어 트렌드

힘찬 시작을 다짐하는 의미에서 집 인테리어를 바꾸는 것도 새해를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다. 집을 꾸미는 데에는 집주인의 취향이 제일 중요하지만, 아름답게 디자인한 다른 집을 살펴보며 인사이트를 얻는 것도 필요하다. 그래서 에어비앤비는 틱톡과 함께 지난 1년간 올라온 콘텐츠를 분석해 2022년에 유행할 인테리어 트렌드를 예측했다.

커피를 매개로 한 도시 라이프스타일 공간

스타벅스 리저브 시카고

롤러코스터가 연상되는 초대형 로스터리에서 원두가 분쇄되자 매장 가득 놀이동산처럼 종이 울린다. 숙련된 바리스타가 제조한 에스프레소 마티니 한 잔을 마주한 이들 사이로 대화가 끊이질 않는다. 건축의 도시 시카고의 스카이라인을 모티브로 제작한 다양한 텀블러, 지역 아티스트 데이비드 안토니 게리가 그린 벽화, 홈카페를 위한 테이블 조명 등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까지.

5명의 건축가가 제안하는 미래의 원룸

전시 <다음 세대를 위한 집>

15년 후면 한국의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질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금의 1인 거주자는 원룸이라는 제한된 주거 환경에서 각자의 삶의 방식을 억누르며 도시를 부유한다. 전시 <다음 세대를 위한 집>은 현재의 1인 주거 환경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을 살린 미래의 주거 환경을 제안한다.

'인테리어 트렌드'에 대한 빌리브의 더 많은 이야기

구독자님, 이번 주 빌리브가 전해드린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글을 흥미롭게 읽으셨다면, 빌리브의 또 다른 이야기도 함께 만나보세요.


나의 사물로 가득 채운
맥시멀리스트 라이프


미니멀리즘에 반하는 클러터코어가 인테리어 트렌드로 떠올랐다. 개인의 취향이 담긴 오브제로 빼곡히 채운 공간에서 안정과
위로를 느끼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인테리어에 물든 ‘할매니얼’,
그래니시크


뉴트로가 인테리어에서도 인기를 이어갈 전망이다. 이 스타일은 우리나라의 ‘을지로풍’처럼 할머니 댁 같은 분위기로 친근하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미니멀을 떠나 곡선으로 휘다

빈티지한 감성의 그래니 시크와 생태적
관점을 담은 바이오필릭에 이어 원형과
곡선의 미를 강조한 처비 디자인이 새로운 인테리어 트렌드로 꼽히고 있다.

새해를 위한 새로운 컬러를 ‘보라’

색상 전문 연구 기업 팬톤은 올해의 색으로 베리 페리라는 이름의 보라색을 선정했다. 새로운 인테리어를 원하고 있다면 집 안에 포인트 색깔을 들여보는 건 어떨까?
신세계가 만든 주거 브랜드, 빌리브
 

빌리브의 뉴스레터가 마음에 드신다면
지인과 함께 구독해 보시는건 어떠신가요?
▼복사 후 공유하기▼
https://bit.ly/34JB73j
빌리브 뉴스레터 구독 신청
오늘 빌리브가 전해드린 이야기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을 말씀해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은 더 나은 콘텐츠 발행에 큰 도움이 됩니다.
 
빌리브 뉴스레터 의견 나누기

 
Facebook
Instagram
YouTube
© 2022 SHINSEGAE E&C All Rights Reserved.
빌리브에서 보내는 메일을 받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여기를, 메일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You can update your preferences or unsubscribe from this list.


PREVIOUS

그림으로 나의 취향을 알아보는 방법

NEXT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삶